링크
7주차
  - 아직 이름도 없음;;
- 이름을 지어준다면 회의실 접촉인원 찾기
난이도
문제요약
  - 입장순서, 퇴장순서가 따로 적힌 배열이 있을때 각 인원이 반드시 만나는 인원 수 반환
접근
  - 
    
      - 입장배열, 퇴장배열을 따로본다.
        
      
 
- 
    
      - 입장 배열과 퇴장배열을 하나의 배열로 통합
        
          - 좀더 계산이 쉬워졌다.
- 하나의 배열로 합치면 입장과 퇴장접근이 더 쉬워진다.
- 인원이 들어갈때 현재 방의 인원수가 그사람이 보는 사람이되고, 퇴장하기전까지 들어오는 사람을 +1해주면된다.
 
 
간단 알고리즘
  - 배열 합치기
    
      - save는 합친 결과 저장용
- 퇴장인원을 기준으로 반복시작
        
          - 퇴장인원 l
- 퇴장인원이 save에 없을때
            
          
- 퇴장인원이 save에 존재
            
              - 퇴장인원 save에 추가
- >>>다음 퇴장인원 확인 시작
 
 
 
- 각 인원별로 확인 알고리즘
    
      - save를 순서대로 확인
- cur는 현장에 있는 인원수
        
      
- check
        
          - dict자료구조, key는 인원아이디, value는 그 인원이 본 인원수
 
- 반복시작
        
          - check에 없을때 = 이제 입장하려는 사람
            
              - check에 인원아이디:cur을 초기화해준다.
- 모든 check의 본인원수를+1해준다.
- cur+1해준다.
 
- check에 있다 = 이제 퇴장
            
              - check에서 해당인원 key 삭제
- cur-1해준다.
 
 
 
- 결과
    
      - check의 Key를 기준으로 정렬, value를 answer해준다.
 
후기
  - 두개의 배열로 열심히 해보려했지만 조금 복잡해져서 머리가 잘 안돌아갔다.
- 두개의 배열로 한번에 풀수 있지만, 좀더 쉽게 접근하기위해 하나의 배열로 만든뒤 진행했다.
- 지금 알고리즘은 두개의 영역으로 있지만 하나로 합칠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.
- 하지만 어느정도 시간을 타협하기위해서는 하나의 접근을 고집하기보다 좀더 자신이 빠르게 생각할 수 있게 변형하는것도 중요하다 생각한다.